<p></p><br /><br />일본 정부가 원전 오염수 방류를 결정한 다음날 주한 일본대사에게 신임장이 전달됐는데요, <br> <br> 이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바다를 공유한 한국의 우려를 본국에 전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. <br> <br> 문 대통령은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를 지시했는데요, <br> <br> 일본 정부 발표에 앞서 오염수 처리 방식을 논의한 전문가도 채널A에 쓴소리를 전해왔습니다. <br> <br>도쿄 김범석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5년 전부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문제를 논의해 온 고야마 료타 후쿠시마대 교수. <br> <br>일본 정부측 인사 13명 가운데 한 명입니다. <br> <br>17차례 회의를 거쳐 작성한 최종 제안서에는 해양 방출과 대기 방출(끓여서 증발) 중에서 "해양 방출이 더 확실하다"는 의견이 달렸습니다. <br><br>다만, 주변국에 양해를 구한 뒤 해양 방출을 결정해야 한다는 조건을 붙였습니다. <br> <br>[고야마 료타 / 오염수 관련 소위원회 위원] <br>"정부가 일방적으로 결정한 느낌이고요. 반대로 한국이 원전사고 후 양해 없이 바다에 방류한다면 일본 내에서도 매우 반발할 겁니다." <br> <br>그러나 전문가 제언은 무시됐고, 방류 결정이 났습니다. <br> <br>심지어 각료들의 발언은 자국민들은 물론 주변국들의 반발을 샀습니다. <br> <br>[아소 다로 / 일본 부총리] <br>"오염수를 마셔도 문제 없습니다." <br> <br>심지어 오염수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을 귀여운 캐릭터로 만들어 안전성을 홍보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방류를 되돌릴 수 없다면 주변국에 정중히 양해를 구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 <br> <br>[고야마 료타 / 오염수 관련 소위원회 위원] <br>"원전 사고를 일으킨 것은 세계에 매우 큰 폐를 끼친 겁니다. 주변국에 머리를 숙여서라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." <br> <br>고야마 교수는 오염수 해양 방출을 실행하는 도쿄전력에 대해 "온갖 사고와 정보 은폐 등으로 이미 신뢰를 잃었다"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도쿄전력은 오늘 곧바로 방출 설비 준비에 착수했고 2년 후 태평양에 원전 오염수가 방류됩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 <br>bsis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강 민